2024.06.03 (월)

  • 맑음속초20.2℃
  • 구름조금25.1℃
  • 맑음철원24.6℃
  • 맑음동두천26.3℃
  • 맑음파주25.3℃
  • 구름많음대관령15.7℃
  • 맑음춘천25.3℃
  • 맑음백령도22.3℃
  • 맑음북강릉19.5℃
  • 구름조금강릉21.2℃
  • 구름조금동해20.4℃
  • 맑음서울26.4℃
  • 맑음인천26.2℃
  • 맑음원주25.3℃
  • 구름조금울릉도19.1℃
  • 구름조금수원25.4℃
  • 구름조금영월26.3℃
  • 맑음충주24.4℃
  • 맑음서산25.3℃
  • 구름조금울진19.0℃
  • 구름조금청주25.7℃
  • 구름조금대전24.5℃
  • 구름조금추풍령22.0℃
  • 구름조금안동22.9℃
  • 맑음상주24.0℃
  • 맑음포항20.3℃
  • 맑음군산25.2℃
  • 구름조금대구23.3℃
  • 맑음전주26.4℃
  • 구름조금울산21.5℃
  • 구름조금창원23.1℃
  • 맑음광주27.0℃
  • 구름많음부산20.4℃
  • 구름조금통영23.5℃
  • 구름조금목포24.9℃
  • 구름조금여수22.1℃
  • 구름많음흑산도23.5℃
  • 구름조금완도26.9℃
  • 맑음고창28.1℃
  • 구름조금순천23.0℃
  • 맑음홍성(예)24.8℃
  • 맑음24.0℃
  • 구름많음제주22.7℃
  • 구름조금고산21.8℃
  • 맑음성산23.4℃
  • 구름많음서귀포23.8℃
  • 구름조금진주24.5℃
  • 맑음강화24.9℃
  • 맑음양평24.6℃
  • 맑음이천24.8℃
  • 구름조금인제24.3℃
  • 구름조금홍천25.9℃
  • 구름조금태백19.1℃
  • 구름조금정선군23.9℃
  • 맑음제천22.9℃
  • 구름조금보은23.2℃
  • 맑음천안24.3℃
  • 맑음보령24.2℃
  • 맑음부여26.0℃
  • 구름조금금산25.7℃
  • 맑음24.5℃
  • 맑음부안26.7℃
  • 맑음임실24.9℃
  • 맑음정읍28.2℃
  • 맑음남원26.4℃
  • 구름많음장수24.9℃
  • 맑음고창군27.4℃
  • 맑음영광군26.8℃
  • 구름많음김해시23.9℃
  • 맑음순창군26.7℃
  • 구름많음북창원23.7℃
  • 구름많음양산시25.5℃
  • 맑음보성군24.5℃
  • 구름조금강진군25.2℃
  • 맑음장흥24.2℃
  • 구름조금해남25.6℃
  • 구름조금고흥23.9℃
  • 구름조금의령군27.5℃
  • 구름조금함양군26.3℃
  • 구름조금광양시24.9℃
  • 구름많음진도군22.7℃
  • 구름많음봉화21.1℃
  • 구름조금영주23.3℃
  • 맑음문경22.7℃
  • 구름많음청송군23.0℃
  • 맑음영덕21.7℃
  • 구름조금의성24.1℃
  • 구름조금구미24.4℃
  • 맑음영천22.2℃
  • 맑음경주시24.3℃
  • 구름많음거창21.7℃
  • 구름많음합천23.9℃
  • 구름많음밀양24.3℃
  • 구름많음산청26.3℃
  • 구름많음거제21.3℃
  • 구름조금남해22.9℃
  • 구름많음24.4℃
2020년 날씨가 증명한 기후위기
  • 해당된 기사를 공유합니다

2020년 날씨가 증명한 기후위기

- 1973년 이후 가장 따뜻했던 1월과 지난 겨울철(2019. 12.∼2020. 2.)
- 여름철 잦은 집중호우(호우일수 4.6일), 가장 많았던 강수량(1207.9㎜)

 부산지방기상청(청장 신도식)은 ‘2020년 부산·울산·경남(부울경) 연 기후특성 분석결과’를 발표하였다.

○ (기온) 2020년 1월과 지난 겨울철 부울경1)은 1973년 이래(이하 역대) 기온이 가장 높아 연평균기온(14.0℃)이 역대 일곱 번째로 높았으며, 2013년 이후 연속적으로 평년2)보다 높은 기온을 보이며 온난화 경향을 이어갔다. ※ 연평균기온(℃) 순위: (1위) 2016년 14.4, (2위) 2019년 14.3, (3위) 2007년 14.3 (4위) 1998년 14.3, (5위) 2004년 14.2, (6위) 2015년 14.1  ※ 2020년 전지구 평균기온(산업화 이전인 1850~1900년 대비 +1.25℃)은 2016년과 같이 가장 따뜻한 해로 발표(ECMWF 산하 코페르니쿠스 기후변화서비스, ‘21.1.8.)

○ (강수) 여름철 부울경은 잦은 집중호우로 호우일수3)(4.6일)와 강수량(1207.9㎜)은 역대 1위를 기록하며, 연 누적 강수량(1870.5㎜)은 역대 다섯 번째로 많았다. ※ 연강수량(㎜) 순위: (1위) 1985년 2085.9 (2위) 2003년 2050.8, (3위) 1999년 1977.1, (4위) 1998년 1936.9 

 

  2020년 주요 기후특성을 보면, ○ 1월과 지난 겨울철(2019. 12.~2020. 2.) 부울경의 기온은 역대 가장 높아 이례적으로 가장 따뜻했던 특징을 보였다. ※ 2020년 1월 부울경 기온요소 순위: (평균기온) 1위 3.9℃, (최고기온) 1위 9.3℃ (최저기온) 1위 –0.3℃, (한파일수) 41위 0.0일  ※ 지난 겨울철 부울경 기온요소 순위: (평균기온) 1위 4.3℃, (최고기온) 2위 10.1℃, (최저기온) 1위 –0.5℃, (한파일수) 42위 0.1일

○ 봄철인 3월 기온도 상위 1위를 기록할 만큼 높았으나 4월은 쌀쌀했던 날이 많아 44위(하위 5위)까지 떨어졌고, 5월에 다시 소폭 상승(14위)하여 심하게 널뛴 봄철 기온 변동을 보였다.

○ 여름철 시작인 6월에는 이른 폭염이 한 달간 지속되면서 평균기온이 역대 1위를 기록한 반면에, 7월은 선선했던 날이 많아(45위(하위 4위)) 6월(23.0℃) 평균기온이 7월(22.5℃)보다 높은 기온 역전현상이 역대 처음으로 나타났다. - 여름철에는 정체전선으로 폭이 좁은 강한 강수대가 자주 형성되어 집중호우가 잦았다. ※ 2020년 여름철 부울경 강수요소 순위: (강수량) 1위 1207.9㎜, (강수일수) 8위 44.1일 (1시간 최다강수량 30㎜이상) 3위 2.1일 (호우일수) 1위 4.6일  ※ 2020년 장마철(6.24.~7.31.) 부울경 강수요소 순위: (강수량) 2위 708.5㎜ (강수일수) 4위 23.4일 (장마기간) 10위 38일 

○ 태풍은 총 23개가 발생하여 이 중 4개가 8~9월 초까지 우리나라에 영향을 주었다. 특히, 고수온역(29℃ 이상)을 통과하면서 강도를 유지한 채 8∼10호 태풍이 연이어 영향을 주면서 많은 피해를 주었다. ※ 2020년 우리나라 영향 태풍: △제5호 장미(8.9.~10.), △제8호 바비(8.22.~27.) △제9호 마이삭(8.28.~9.3.), △제10호 하이선(9.1.~7.) 

 

  신도식 청장은 “2020년은 집중호우, 강한 태풍 등 기후변화에 따른 이상기상 현상이 빈번한 해였습니다.”라며, “국민의 안전과 생활 편익을 위해, 기후위기 시대에 맞는 날씨예측과 기후서비스 기술개발로 선제 정보 제공을 서둘러 추진해 나갈 것입니다.”라고 밝혔다.

 

 [1~2월] 약한 시베리아 고기압 → 이상고온  ○ ① 시베리아 지역으로 따뜻한 남서풍이 자주 유입되면서 고온현상(평년 보다 3℃ 이상 높음)이 나타나, 차고 건조한 시베리아 고기압이 발달 하지 못하면서 우리나라로 부는 찬 북서풍이 약했다. <그림 1>  - 한편, 겨울에 발달하는 ② 극 소용돌이*가 평년에 비해 강해 제트기류가 극 가까이에 형성되어 북극의 찬 공기를 가두는 역할을 하였다. * 겨울철 북극 지역에 중심을 두고 발달하여 찬 북극 공기를 머금은 저기압 덩어리  - 또한, ③ 아열대 서태평양의 해수면 온도가 평년보다 높아 우리나라 남쪽의 따뜻하고 습한 고기압의 세력이 유지되어 우리나라로 따뜻한 남풍 기류가 유입되었다. 


44.jpg

  [4월] 북쪽 찬 공기의 잦은 남하 → 봄철 큰 기온변동  ○ 3월은 북극에 찬 공기가 갇힌 가운데 시베리아 지역의 기온이 평년보다 2℃ 이상 높게 유지되면서 차고 건조한 시베리아 고기압이 약했다. 반면 4월은 바이칼호 북서쪽에 키가 큰 따뜻한 공기가 정체4)하면서 남북 흐름이 강화되어 북서쪽에서 찬 공기가 자주 유입되었다.

 

22.jpg

  [6월] 잦은 남서풍 유입과 강한 일사 → 이상고온 

○ 6월 초부터 상층과 하층에 더운 공기가 자리 잡은 가운데, 기온과 습도가 높은 공기(북태평양고기압)의 영향과 서쪽에서 접근한 저기압에 따뜻한 남서풍이 유입되었고, 강한 일사까지 더해지면서 부울경을 포함 한 전국에 더위가 이어졌다.

33.jpg

  [여름철] 북태평양고기압 확장 지연 → 평년보다 긴 장마와 6‧7월 기온 역전 

○ 6월 시베리아 이상고온으로 7월 북극 해빙(海氷) 면적이 1979년 이후 최저를 기록하였고, 이로 인해 우리나라 주변은 대기 정체(블로킹5))로 편서풍이 약해지고 북쪽으로부터 찬 공기의 유입이 잦았다.

○ 또한, 7월 서인도양에 해수면 온도가 높고 대류가 매우 활발(상승기류) 해지면서 동인도양~필리핀해 부근에서 대류 억제가 강화(하강기류)됨에 따라, 북태평양고기압이 남~서쪽으로 크게 확장하였다.  - 이 때문에, 북태평양고기압의 북쪽 확장이 지연되었고, 우리나라 부근에서 정체전선이 지속해서 활성화되어 장마철이 길게 이어졌으며, 7월 기온도 낮아져 기온변동이 컸던 것으로 분석된다. - 한편 6~7월은 상층 찬 공기를 동반하며 발달한 저기압에 의해, 8월은 정체전선 상에서 발달한 남북으로 폭이 좁은 강한 강수대가 지속해서 발달하면서, 집중호우와 많은 비가 잦았다. 

44.jpg

  [8~9월] 필리핀해 고수온과 북태평양고기압 확장 → 4개의 강한 태풍이 우리나라 영향 

○ 필리핀해상의 높은 해수면 온도(평년보다 1℃ 이상)로 인해 태풍이 강한 강도로 영향을 주었으며, 북태평양고기압이 평년보다 북서쪽으로 확장 하면서 우리나라는 태풍의 길목에 위치하였다.

55.jpg

- (제5호 장미) 8월 9일 일본 오키나와 남남서쪽 약 600㎞ 부근 해상 에서 발생, 10일 울산 서북서쪽 10㎞ 부근 육상에서 온대저기압으로 약화되었다. ※ 최대순간풍속(8.9.~8.10.): 27.3㎧(울산 이덕서), 26.2㎧(통영 매몰도) 강수량(8.9.~8.10.): 143.0㎜(거창 북상), 135.5㎜(산청 시천) -

(제8호 바비) 8월 22일 타이완 타이베이 남남동쪽 약 200㎞ 부근 해상 에서 발생, 서해상을 따라 27일 중국 선양 동쪽 약 180㎞ 부근 육상 에서 온대저기압으로 약화되었다. ※ 최대순간풍속(8.26.~8.27.): 24.2㎧(통영 매물도), 22.4㎧(남해) 강수량(8.26.~8.27.): 240.0㎜(산청 지리산), 164.0㎜(산청 시천) -

(제9호 마이삭) 8월 28일 필리핀 마닐라 동북동쪽 약 1,040㎞ 부근 해상에서 발생, 9월 3일 부산 남서쪽 해안에 상륙, 함흥 동쪽 약 130㎞ 부근 해상에서 온대저기압으로 약화되었다. ※ 최대순간풍속(9.2.~9.3.): 46.6㎧(통영 매물도), 46.0(울산 이덕서) 강수량(9.2.~9.3.): 265.4㎜(창원 북창원), 232.5㎜(밀양 단장) -

(제10호 하이선) 9월 1일 괌 북쪽 약 780㎞ 부근 해상에서 발생, 7일 울산 남쪽 해안에 상륙하고 북진하여, 함흥 동북동쪽 약 100㎞부근 해상에서 온대저기압으로 약화되었다. ※ 최대순간풍속(9.6.~9.7.): 41.9㎧(울산 이덕서), 38.2㎧(거제 서이말) 강수량(9.6.~9.7.): 251.0㎜(양산 상북), 200.0㎜(부산 금정구)

 

66.jpg

 

77.jpg

 

88.jpg

 

11.jpg

 

22.jpg

 

33.jpg

 







모바일 버전으로 보기